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액트네이티브
- github
- React
- 스레드
- 데이터베이스
- MVVM
- CS지식
- 앱
- db
- cs
- 코틀린
- reactnative
- Kotlin
- 개발
- 앱개발
- 안드로이드 디자인 패턴
- 운영체제
- 앱 개발
- 디자인 패턴
- 안드로이드
- OS
- Operating System
- 안드로이드 개발
- Android
- Database
- 리액트
- 액티비티
- 디자인패턴
- 메모리
- 프로세스
- Today
- Total
목록프래그먼트 (2)
Tech Log
Fragment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Fragment에도 생명주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Fragment는 Activity에 종속이 될 텐데 Fragment의 생명 주기는 종속되는 중에 어떻게 돌아갈까 궁금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ragment 생명 주기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Activity 생명 주기와는 어떤 다른 점이 있는지 공부해보고자 한다. 1. 배경 Fragment도 Activity와 마찬가지로 UI를 빌드하는 것이므로 Activity가 생명주기를 갖는 것과 같은 이유로 생명주기를 갖고 있다. 생명주기 콜백 함수가 있는 이유는 사용자가 Fragment 화면을 나가거나 돌아올 때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그 외에도 다른 이유들이 있는데 아래 링크에서 생명주기를 사용하는 이유..
클론 코딩을 하다가 Fragment를 그닥 깊게 생각하지 않고 써왔다. 그러다가 Fragment 용례가 기억이 안나서 다시 찾아보게 되었다. Fragment의 이론 내용을 공부하는 중, 몰랐던 내용이 많아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배경 태블릿과 같이 큰 화면이 나오면서, 안드로이드 UI에도 유연성이 요구되었다. 기존의 핸드폰과 같이 작은 화면만 다루었을 때는, Activity 단위로 UI를 구성해도 수월했다. 태블릿의 화면은 핸드폰의 화면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UI 구성 요소를 사용할 공간이 더 많다. 따라서 Activity의 레이아웃을 나누자는 아이디어가 나오게 되었다. 기존의 레이아웃들로 Activity를 구분지어도 되지만, Dynamic한 동작(디바이스에 따라 View 감추기, 보이기, 위치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