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VVM
- 데이터베이스
- 스레드
- 디자인 패턴
- 액티비티
- db
- reactnative
- github
- 프로세스
- 리액트
- Database
- 개발
- 앱 개발
- OS
- cs
- 안드로이드 디자인 패턴
- Operating System
- 운영체제
- 디자인패턴
- 안드로이드
- 코틀린
- 앱개발
- React
- 리액트네이티브
- Android
- 메모리
- Kotlin
- 안드로이드 개발
- CS지식
- 앱
- Today
- Total
목록안드로이드스튜디오 (2)
Tech 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8qzL/btrD3xx5Isc/K4VZSG5zSZZJMY6VaSsmE0/img.png)
안드로이드를 공부하면서 안드로이드 내의 스레드 개념을 알게되고, 이때 Handler 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근데 당시에는 글을 읽어봐도 Handler에 대한 감이 잡히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공부하며 직접 글을 쓰면서 정리하고자 한다. 1. 배경 어쩌다가 Handler라는 것이 만들어지게 된 것일까? 그리고 Handler라는 것은 어디에 쓰는 것일까? 앞에서 스레드를 공부하면서 Handler를 알게 되었다고 했다. 여기서 유추할 수 있듯이, Handler는 스레드와 관련된 일을 한다. 안드로이드에는 메인 스레드와 워커 스레드가 있다. 메인 스레드에서는 대게 UI 관련된 작업을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들은 워커 스레드에서 진행한다. 만약, 워커 스레드에서 UI를 처리하는 작업을 하거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QUti/btro13e6kPp/8Ba04U3yPIzG2C9tQwznY0/img.png)
개요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mySQL의 데이터를 받아올 때 Retrofit2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되었다. retrofit2에 대해서 복습해볼겸 포스팅을 작성해보았다. 외부 DB인 mySQL의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 node.js를 사용해서 서버를 구축하고, 그 서버를 Retrofit 2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통신해주었다. Retrofit2이란?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형태의 객체로 받을 수 있게 하는 HttpClient 라이브러리이다. 이때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형태의 객체로 받을 수 있다는 말을 TypeSafe하다고 표현할 수 있다. Retrofit2를 쓰는 이유? Retrofit2는 Http 통신을 쉽게 하고 속도가 빠르다 또한 코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