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VVM
- React
- 액티비티
- CS지식
- 메모리
- 안드로이드 디자인 패턴
- 안드로이드
- db
- 코틀린
- 디자인 패턴
- 스레드
- Operating System
- reactnative
- 운영체제
- 프로세스
- 개발
- cs
- github
- 리액트
- 앱 개발
- OS
- 데이터베이스
- 디자인패턴
- 안드로이드 개발
- 앱
- Android
- Database
- 앱개발
- Kotlin
- 리액트네이티브
- Today
- Total
목록깃 (2)
Tech 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uW0n/btrElbJIaJr/Ll3gUIqvpbbzMpCLpLWb31/img.png)
다들 처음 git commit을 하고, push를 해줄 때 git push -u origin branch-named에서 -u라는 옵션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u 옵션 뿐만 아니라, 다른 옵션도 있는데 이게 무슨 명령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했다. 따라서 git push cli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다뤄보기로 했다. 1. git push란? git commit 을 하고나서, 로컬 저장소에 변경 이력이 저장이 된다. 이후에 git push를 하게 되면 로컬 저장소에 있는 변경 이력이 원격 저장소에도 반영된다. 2. 사용 방법 git push (원격 저장소 명) (브랜치 명) 일반적으로 git push는 두 가지 인자를 받는다. 원격 저장소 명과 브랜치 명을 두 가지 인자로 받는다. git push orig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CjcU/btrr2SWGwi0/uuOXwSslG1ogjTx6YWMFO0/img.png)
개요 : 이때까지 규칙 없이 커밋 메시지를 작성했더니 가독성이 좋지 않았다. 이러한 점이 협업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컨벤션 없이 작성한 커밋 메시지로 인해, 로그를 보면 다른 사람 혹은 자신이 어떤 것을 커밋했는지 한 번에 알기 힘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dacity의 이상적인 커밋 메시지 가이드를 보았다. 메시지 구조 type: Subject body footer Udacity에서 제공하는 커밋 메시지 가이드 라인은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제목(Subject), 본문(body), 꼬리말(footer) 세 가지 파트로 나뉜다. 각 파트는 한 줄 띄워 구분한다. type : Subject (제목 파트) 제목 파트는 위와 같이 type : Subject..